학과소개

영남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학과소개

본 학과의 석사과정은 1989년 3월에, 박사과정은 1993년 3월에 신설되었으며 현재 환경공학전공으로 통합하여 운영되고 있다. 대학원의 교육목표는 대학원생들로 하여금 학부과정에서 익힌 관련분야의 교양과 전공의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실험.실습과 강의.세미나를 통한 최신 전문분야의 지식을 습득케 하여 학위 취득 후 환경관련 분야의 학문적 연구 및 후진양성을 위한 교육과 고급 환경관리 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능한 전문가 양성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최근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유럽연합(EU)과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는 자국의 친환경 정책은 물론 무역에 있어서도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제품과 서비스는 더 이상 권역 내에서 거래되지 못하도록 하는 정책과 제도를 속속 내놓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 움직임으로 환경문제가 국가의 산업형태까지 변화시킬 수밖에 없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2차 산업과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생산과정과 결부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환경기술개발이 산업투자에 선행되어야 할 것은 당연한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도 연구기관, 행정기관 및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환경기술자의 수는 부족한 실태로 분석되고 있다. 환경공학 전문가 과정인 석.박사과정을 졸업 한 후에는 21세기 유망첨단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환경설비 Engineering회사, 환경행정부서, 환경관련 정부투자기관, 기업 및 정부 환경연구소, 기업 환경관리부서, 환경자문 벤처기업, 교육기관, 민간 환경단체 등 수 많은 환경관련 분야에 진출하여 환경전문가 혹은 수준 높은 엔지니어로 종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가 발전할수록 환경기술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환경공학과의 전망은 매우 밝다고 할 수 있다.

Introduction

The master's course for this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March 1989, and the Ph.D. course was established in March 1993. The educational goal of graduate school is to experiment in practical ways based on the basic knowledge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that graduate students have learned in undergraduate programs. By gaining knowledge in the latest fields of expertise through practice, lectures and seminars, the course prioritizes the training of competent experts who can carry out academic research in environmental fields and the engineer or responsible officer of advanced environmental management after obtaining a degree.
As the importance of ESG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has recently emerged, the European Union (EU)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are releasing policies and systems that prevent products and service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in trade as well as their own eco-friendly policies. Given that such a global move is forcing environmental problems to change the nation's industrial form, it is natural for Korea, which relies on secondary industrie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linked to the production process, that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technologies must precede industrial investment. Despite various efforts, however, Korea still lacks the number of environmental engineers needed by research institutes, administrative agencies and industrial companies. A specialist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after graduating from the Ph.D. program, he will be able to work as an environmental expert in a number of environmental-related fields, including environmental engineering companies, investment agencies, corporate,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environmental venture compani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etc. In addition, the prospect of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is very bright, considering that the demand for environmental engineers increases as society develops.